생각 차곡차곡

디지털 시대, 교과서까지 바꿔야 할까?

차곡러 2025. 5. 3. 07:01
728x90

디지털 시대, 교과서까지 바꿔야 할까?

 

 

태블릿이 교과서를 대신하는 시대.
최근 초·중·고등학교에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또한, 뉴스에서는 디지털 교과서를 시범 운영하고 있는 학교 수업 모습도 보여줬습니다. 
학생들은 더 이상 두꺼운 책을 들고 다니지 않고, 한 대의 태블릿으로 모든 학습 자료를 열람하게 될 것입니다.

편리함을 내세운 이 변화, 과연 긍정적이기만 할까요?

 

디지털 교과서, 기대되는 점은 있다.

물론 디지털 교과서가 가진 장점도 분명합니다.

  •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
  • 동영상, 애니메이션,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학습자료 활용
  • 업데이트와 수정이 용이해 최신 정보 제공 가능
  • 인터랙티브 학습을 통해 흥미를 높일 수 있음

특히 빠른 정보 습득이 가능한 디지털 세대에 맞춰,
학습 방식을 혁신하겠다는 의도는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과서까지 디지털화하는 것은 신중해야 하지 않을까?

저는 교육 전문가는 아니지만 디지털 기기를 활용할 줄 아는 교육은 분명히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학습 수단인 교과서까지 전면 디지털화하는 것에는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유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1. 기억력과 이해력 문제
    • 연구에 따르면 종이책을 읽을 때가 디지털 화면을 읽을 때보다 기억과 이해력이 높다는 결과가 다수 있습니다.
    • 종이를 넘기고, 밑줄 긋고, 직접 쓰며 학습하는 과정은 뇌에 깊은 인지적 흔적을 남깁니다.
  2. 건강 문제 (시력 및 인지 능력)
    • 장시간 화면을 응시하면 눈의 피로와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청소년기의 뇌 발달 단계에서는, 직접 손으로 쓰고, 물리적 활동을 하는 경험이 인지 발달에 필수적입니다.
    • 지나친 화면 노출은 주의력 결핍, 집중력 저하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3. 기본 습관 형성의 문제
    • 초·중·고는 학습 습관을 잡는 시기입니다.
    • 디지털은 빠른 검색과 요약에는 강하지만, 깊이 읽고, 숙고하는 힘은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디지털 기기 교육은 필요하지만, 교과서는 다르다.

디지털 기기를 다루는 능력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입니다.
학생들이 태블릿을 활용해 다양한 정보를 검색하고, 평가 및 분석 능력을 키우는 것은 꼭 필요한 교육입니다.

하지만,
디지털 기기 활용 교육
교과서라는 기본 학습 수단의 디지털 전환구분되어야 합니다.

  • 기본 학습은 아날로그 기반으로, 깊이 있게 사고하고 정리하는 힘을 키우고,
  • 디지털은 도구로 활용하여 정보 탐색과 표현 능력을 확장하는 방향이 되어야 합니다.

디지털화는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어야 합니다.
교육의 본질은, 생각할 줄 아는 사람을 길러내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디지털과 아날로그, 균형이 필요하다.

  • 태블릿으로 수업 자료를 보조하고,
  • 종이 교과서로 기본 학습을 진행하며,
  • 손글씨와 독서로 사고력과 집중력을 키우고,
  • 디지털 도구로 정보를 확장하는 것.

이런 균형 잡힌 교육 방식이 필요합니다.

빠르게 배우는 것보다, 깊이 있게 배우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결론 – 디지털은 수단, 교육은 본질

디지털 교과서는 편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의 기억력, 집중력, 시력, 인지 발달 같은 핵심적인 부분을 고려할 때,
신중한 접근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교육은 '편리함'보다 '성장'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아날로그의 느림과 깊이는, 디지털 시대에 더 소중해질 것입니다.

우리는 미래를 준비해야 하지만,
미래를 위해 필요한 것들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합니다.

 

 

728x90